2025년 2월 12일 금융·경제·산업 뉴스 요약입니다.
금융 뉴스
서울 금융경쟁력 하락… 정치·관치 리스크 영향
최근 서울의 글로벌 금융경쟁력이 하락하고 있으며, 주요 원인으로 정치적 불확실성과 정부 개입(관치) 강화가 지목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사들이 홍콩·싱가포르로 이전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금융 중심지로서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금융산업의 자율성 보장과 규제 완화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 관련기사
Seoul’s Financial Competitiveness Declines Amid Political and Regulatory Risks
Seoul's global financial competitiveness is declining, driven by political uncertainties and increasing government intervention. More global financial firms are shifting to Hong Kong and Singapore, raising concerns over Seoul’s status as a financial hub. Calls for regulatory reforms and industry autonomy are growing.
🔗 Read more
금융 IT 사고 보고 규정 강화… 리스크 관리 강화
정부가 금융권의 IT 사고 보고 규정을 강화하며, 사고 발생 후 즉각 보고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사이버 보안 위협이 증가하는 가운데, 금융사들은 IT 인프라 투자 및 보안 강화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 관련기사
Stricter IT Incident Reporting Rules for Financial Institutions
The government is tightening IT incident reporting regulations, requiring immediate reporting and mandatory recurrence prevention measures. As cybersecurity threats rise, financial firms are expected to increase investments in IT infrastructure and security enhancements.
🔗 Read more
건설업 연체율 상승… 은행 대출 기준 강화
건설업체들의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은행들이 건설업 대출 심사를 강화하고 있다. 경기 둔화 및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건설사들의 자금 조달이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 관련기사
Rising Delinquency Rates in Construction Sector Lead to Stricter Loan Screening
As delinquency rates among construction firms rise, banks are tightening lending standards for the sector. With economic slowdown and real estate uncertainties, construction companies are facing increased funding difficulties.
🔗 Read more
車·반도체까지 美 관세 사정권… 한국 수출 타격 우려
미국이 자동차, 반도체 등 주요 한국 수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보호무역 기조 강화로 인해 한국의 수출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 관련기사
Korean Auto and Semiconductor Exports Face US Tariff Risks
The US is considering additional tariffs on Korean automobiles and semiconductors, potentially weakening Korea’s export competitiveness amid rising protectionism and supply chain restructuring.
🔗 Read more
트럼프發 금 사재기… 골드바 판매 중단 사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금 사재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일부 금 판매업체들은 골드바 판매를 일시 중단하며, 금 가격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 관련기사
Trump Effect Spurs Gold Hoarding, Leading to Gold Bar Sales Suspension
With Trump’s rising reelection prospects, gold hoarding is intensifying, causing some gold dealers to suspend sales due to surging demand. This has led to increased price volatility in the gold market.
🔗 Read more
K배터리 3사 점유율 하락… 中·美 경쟁 심화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K배터리 3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1년 새 4.7%p 하락하였다. 중국 비야디(BYD)와 미국 기업들의 공격적인 투자로 인해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시장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 관련기사
Korean Battery Giants Lose Market Share Amid Rising Chinese and US Competition
The market share of Korea’s top three battery makers (Samsung SDI, LG Energy Solution, SK On) fell by 4.7 percentage points in a year, as Chinese and US companies ramped up aggressive investments.
🔗 Read more
화물운송 시장 급성장… 저비용항공사(LCC)도 확대
최근 화물운송 시장이 캐시카우(수익 창출원)로 부상하면서, LCC(저비용항공사)들도 화물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글로벌 물류 수요 증가와 항공 화물 운임 상승이 항공사들의 실적 개선을 견인하고 있다.
🔗 관련기사
Cargo Transport Becomes Key Revenue Source, LCCs Expand Freight Business
The cargo transport market is emerging as a major revenue source, prompting low-cost carriers (LCCs) to expand their freight operations amid rising global logistics demand and higher air freight rates.
🔗 Read more
한화, 아워홈 경영권 인수… 8695억 원 투자
한화가 8,695억 원을 투자해 아워홈 경영권을 인수하였다. 그룹의 외식·식품 사업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향후 B2B 급식 및 프리미엄 식품 사업 확대가 예상된다.
🔗 관련기사
Hanwha Acquires Ourhome for 869.5 Billion KRW
Hanwha has acquired control of Ourhome for 869.5 billion KRW, as part of its expansion into the food service and premium food sectors.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