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2월 26일 금융·경제·산업 뉴스 요약입니다.
📌 금융 뉴스
🏦 산업은행, 아시아나항공에 투입한 정책자금 3.6조 원 전액 회수
산업은행이 아시아나항공에 지원했던 정책자금 3조 6천억 원을 전액 회수하면서, 아시아나항공의 재무 건전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이는 대한항공과의 합병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하며, 항공업계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 관련기사
KDB Recoups Entire 3.6 Trillion KRW in Policy Funds from Asiana Airlines
The Korea Development Bank (KDB) has fully recovered its 3.6 trillion KRW policy fund injection into Asiana Airlines, signaling financial stabilization and further progress in its merger with Korean Air.
🔗 Read more
📉 “대출금리는 왜 안 내려” 비판에도 은행권 미온적 대응
기준금리가 유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은행들이 대출금리 인하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어 논란이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저신용자 대출 확대가 평균 대출금리를 높이는 요인이지만, 은행들의 이자 장사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 관련기사
Banks Under Fire for Delayed Loan Rate Cuts Despite Policy Pressure
Despite regulatory pressure, banks remain hesitant to lower loan rates, attributing the issue to an increase in high-risk loans pushing up average interest rates.
🔗 Read more
📊 금감원, 첫 ‘CEO 레터’ 주제는 해외 부동산 투자
금융감독원이 금융사 CEO들에게 정기적으로 리스크 관련 경고를 전하는 ‘CEO 레터’ 제도를 도입했다. 첫 번째 레터의 주제는 해외 부동산 투자 리스크로, 최근 국내 금융사들의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조치다.
🔗 관련기사
FSS Issues First ‘CEO Letter’ on Overseas Real Estate Risks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has launched a ‘CEO Letter’ initiative, with the first topic addressing rising risks in overseas real estate investments by Korean financial firms.
🔗 Read more
📌 경제 뉴스
📉 한은, 올해 경제성장률 1.5%로 하향 조정… 금리 1~2회 추가 인하 가능성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기존 1.6%에서 1.5%로 추가 하향 조정하면서, 금리를 1~2회 더 인하할 가능성이 커졌다. 경기 둔화와 물가 안정세가 반영된 결과로, 금리 인하에 따른 자산시장 변동성이 예상된다.
🔗 관련기사
Bank of Korea Lowers Growth Forecast to 1.5%, Signals More Rate Cuts
The Bank of Korea has revised its GDP growth forecast to 1.5% and hinted at 1-2 additional rate cuts, reflecting slowing growth and stable inflation.
🔗 Read more
📈 광주 미래차·울산 수소산단… 그린벨트 해제해 첨단산업 유치
정부가 광주에 미래차 클러스터, 울산에 수소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그린벨트를 해제하며, 첨단산업 투자 유치에 나섰다.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친환경 산업 육성을 위한 조치로, 관련 기업들의 투자 확대가 기대된다.
🔗 관련기사
Government Eases Greenbelt Restrictions to Boost Future Mobility & Hydrogen Industries
The Korean government is relaxing greenbelt regulations to establish a future mobility cluster in Gwangju and a hydrogen industry hub in Ulsan, aiming to attract high-tech investments.
🔗 Read more
📌 산업 뉴스
🚢 HD현대·한화, 70조 원 규모 캐나다 함정 사업 수주 노린다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70조 원 규모의 캐나다 해군 함정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협력하고 있다. 이는 한국 방산업체의 글로벌 시장 확대 기회로, 국내 조선·방산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관련기사
HD Hyundai & Hanwha Target 70 Trillion KRW Canadian Naval Project
HD Hyundai and Hanwha Ocean are teaming up to secure a 70 trillion KRW naval shipbuilding contract in Canada, strengthening Korea’s defense and shipbuilding industries.
🔗 Read more
🔋 삼성·현대차, 로봇 전용 배터리 개발 착수
삼성과 현대차가 로봇 전용 배터리 개발을 위해 협력하면서, 로봇산업의 핵심 기술 경쟁력이 강화될 전망이다. 이는 자율주행·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관련기사
Samsung & Hyundai Develop Dedicated Robot Batteries
Samsung and Hyundai are collaborating on specialized batteries for robotics, aiming to enhance autonomous mobility and smart factory applications.
🔗 Read more
🏭 LG화학·롯데케미칼, 서산공장 ‘블랙아웃’ 사태… 생산 차질 우려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의 서산 공장에서 정전(블랙아웃) 사고가 발생하면서, 생산 차질과 공급망 문제 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 관련기사
LG Chem & Lotte Chemical Face Shutdown at Seosan Plant Due to Blackout
A blackout at LG Chem and Lotte Chemical’s Seosan plant is causing production disruptions and potential supply chain issues.
🔗 Read more
금융권에서는 대출금리 인하 압박과 해외 부동산 리스크가 주요 이슈이며, 경제 전반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감과 첨단산업 투자 확대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산업에서는 방산·로봇·화학업계의 글로벌 전략 변화가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